분류 전체보기 74

05. 전력 계통의 안정도 - 안정도 종류

1) 안정도의 정의 전력 계통의 어떠한 운전 조건하에서도 아무런 이상 없이 부하에 전력 공급을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2) 안정도의 종류 정태 안정도 안정도 과도 안정도 동태 안정도 (1) 정태 안정도 계통에 아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완만한 부하 변화 시의 전력 공급 능력 (2) 과도 안정도 계통에서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하거나, 급격한 부하의 변화가 발생했을 때의 전력 공급 능력 (3) 동태 안정도 발전기에 자동 전압 조정장치(AVR)와 전기식 고성능 조속기를 설치 하였을 때의 전력 공급 능력 3) 전력 계통의 공급 전력 식 ( 안정도 관련 식 )

04.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장해 - 유도 장해

1) 유도 장해의 종류 (1) 유도장해란, 전력선에서 발생하는 전계 및 자속이 근처에 가설된 통신설로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2) 정전 유도 장해 :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정전 용량(C)에 의해서 발생 (3) 전자 유도 장해 :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인덕턴스(M)에 의해서 발생 2) 정전 유도 장해 (1) 송전선의 영상 전압과 통신선의 상호 정전용량의 불평형에 의해 통신선에 유도되는 전압( 평상 시, 고장 시 모두 발생 ) (2) 송전선로 경과지에 통신서로가 너무 근접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선과 통신선로 간의 상호 정전용량의 영향이 너무 심하게 작용하여 전력선에서 통신선로에 정전 유도전압이 유기되면서 유도 장해를 일으킨다. (3) 정전 유도 전압의 크기 (4) 정전 유도 장해 경감 대..

04.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장해 - 중성점 접지 방식의 종류

중성점 접지 방식은 다음과 같이 임피던스의 종류에 따라서 4가지 장식으로 나뉜다. ① 직접 접지 ( Z = 0 ) ② 저항 접지 ( Z = R ) ③ 소호 리액터 접지 ( Z = jwL ) ④ 비 접지 ( Z = ∞ ) 1) 비 접지 방식 변압기를 △ 결선한 후 변압기와 대지 사이를 Z = ∞ 즉, 접지선을 연결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지락 사고 시 지락 전류가 매우 적은 특징이 있다. (1) 지락전류 : (2) 지락 전류가 작아 계속 송전이 가능하다. (3) 통신선에 대한 유도 장해가 적다. (4) 변압기 1대 고장 시 V결선으로 송전 가능하다. (5) 지락 사고 시 이상 전압이 크다. (6) 접지(지락) 계전기 동작이 어렵다. (7) 주로 저전압, 단거리 계통에 한해서 적용된다. 2) 직접 접지 방식 변..

03. 송전 특성 및 조상 설비 - 직류 송전 ( HVDC )

1) 직류 송전의 정의 발전소에서 발전된 교류(AC) 전력을 정류기로 직류(DC) 전력으로 변환시켜 송전한 후에 이를 다시 교류(AC)로 역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송전 방식을 말한다. 2) 우리나라 직류 송전(HVDC) 예 육지의 전라남도 해남에서부터 제주도까지 100[km] 해저 구간을 직류 송전 방식으로 하여 해저 케이블을 이용하여 300[MW] 용량으로 직류 연계하여 현재 운전 중이다. 3) 직류 송전(HVDC)의 장점 (1) 전력 손실이 적다. (2) 전력 기기의 절연을 교류 방식보다 낮게 할 수 있따. ( 교류의 1 / √2 정도 ) (3) 코로나 손실이 적고, 충전 전류의 영향이 없다. (4) 선로의 리액턴스가 없으므로 계통의 안전도가 높다. (5) 전선의 표피 효과나 근접 효과 영향이 없으..

03. 송전 특성 및 조상 설비 - 조상 설비

1) 조상 설비의 정의 전력 계통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효 전력에 일정한 비율의 무효 전력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에 필요한 무효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를 조상 설비라 한다. 2) 조상 설비의 종류 (1) 전력용 콘덴서( S, C ) (2) 분로(병렬) 리액터( Sh.R ) (3) 동기 조상기 동기 전동기를 무부하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으로 계통의 전압과 역률을 조정한다. 3) 조상 설비의 특징 4) 페란티 현상 (1) 페란티 현상의 정의 심야의 경부하 또는 무부하시에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 (2) 페란티 현상의 원인 선로의 대지 정전 용량으로 인한 충전 전류( 진상 전류 ) (3) 페란티 현상 방지 대책 ① 분로 리액터( Sh.R )를 설치한다. ② 동기 조상기를 저여자..

03. 송전 특성 및 조상 설비 - 송전 특성

1) 송전선로의 해석 송전선로는 송전 거리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해석한다. (1) 단거리 선로 : R과 L만의 집중 정수 회로 (2) 중거리 선로 : R과 L, C의 집중 정수 회로 (3) 장거리 선로 : R, L, C, G가 모두 있는 분포 정수 회로 2) 단거리 송전선로 (1) 단거리 선로의 등가 회로 및 벡터도 (2) 송전단 전압( ) 산출 ① 위 그림 (b)의 벡터도로부터, ② 위의 √ 내의 식 중에서 , 의 값은 매우 작으므로 무시하게 되면, (3) 전압강하의 산출 ① ② 3) 중거리 송전선로의 해석 (1) T형 회로에 의한 해석 ① 등가회로 ② T형 회로의 송전단 전압, 전류 (2) 형 회로의 송전단 전압, 전류 4) 장거리 송전선로의 해석 (1) 분포정수 회로 선로정수( R, L, G..

02. 선로정수 및 코로나 - 코로나( Corona )

1) 코로나의 정의 송전 선로의 공기가 부분적으로 절연 파괴되어서 낮은 소리와 푸른빛을 내면서 방전하게 되는 이상 현상이다. 2) 파열 극한 전위 경도 ( E [ kV / cm ] ) 공기의 간격이 1[cm]에서 절연이 파괴되기 시작하는 전압을 말한다. (1) 직류 : 30 [ kV / cm ] (2) 교류 : 30 / √2 ≒ 21 [ kV / cm ] ( 실효값 ) 3) 코로나 임계 전압 ( ) 코로나 방전이 시작되는 코로나 임계 전압 산출 식은 다음과 같다. 4) 코로나에 의한 악영향 (1) 코로나 전력 손실 발생 ( ) (2) 코로나 저주파 발생 (3) 전력선 주변 통신선로에 전파 장해 발생 (4) 소호 리액터 접지에서 소호 능력의 저하 (5) 전선 부식 ( 코로나 방전 시 오존이 발생하여 공기의..

02. 선로정수 및 코로나 - 선로정수

01. 선로정수 선로정수는 송배전선로의 전기적 특성을 해석하는 데 필요하다. 1) 선로정수의 의미 선로정수란, 전선로에 존재하는 저항 R, 인덕턴스 L, 정전용량 C, 누설 콘택턴스 G의 정수를 말하며, 이를 선로의 4정수라 한다. 2) 선로 정수값의 산출 (1) 저항 R[] ① ② (2) 인덕턴스 L [H] (3) 정전용량 C [F] (4) 등가 선간 거리 실제 전선과 전선 간의 이격거리는 서로 각기 틀리므로 정삼각형 배열로 등가 변환하여 선간 거리를 동일하게 환산한 거리를 등가 선간 거리라 한다. (5) 복도체( 다도체 ) ① ② ③ 3) 충전 용량 (1) 작용 정전용량 C [F] 전선과 전선 간, 전선과 대지 간에 존재하는 모든 정전용량을 말한다. (2) 충전 전류( ) 및 충전 용량( ) 전선에 ..

01. 송전선로 - 송전 선로의 가설

1) 전선의 이도( Dip ) (1) 전선의 이도 및 전선의 실제 길이 ① 이도 : 전선이 최고 높은 지점에서 밑으로 내려온 길이[m] ② 이도가 너무 작으면 전선의 장력이 너무 커져서 단선될 가능성이 커지고, 반대로 이도가 너무 크게 되면 전선의 흔들림이 심하고 전선 지지물의 높이가 이도에 비례해서 높아지게 된다. ③ 따라서, 송전 선로 가설 시 이도 값을 적정하게 선정하여 전선의 흔들림을 적절하게 조정하고, 전체적으로 철탑 지지물의 공사비 등을 종합 검토한다. 전선의 이도 전선의 실제 길이 전선의 평균 높이 2) 전선의 하중 (1) 빙설 하중 ( Wi : 수직 하중 - 저온계에서만 적용 ) : (2) 풍압 하중 ( Ww : 수평 하중 ) : ① ② (3) 합성 하중 ( W : 총 하중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