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선의 이도( Dip )
(1) 전선의 이도 및 전선의 실제 길이
① 이도 : 전선이 최고 높은 지점에서 밑으로 내려온 길이[m]
② 이도가 너무 작으면 전선의 장력이 너무 커져서 단선될 가능성이 커지고,
반대로 이도가 너무 크게 되면 전선의 흔들림이 심하고 전선 지지물의 높이가
이도에 비례해서 높아지게 된다.
③ 따라서, 송전 선로 가설 시 이도 값을 적정하게 선정하여 전선의 흔들림을
적절하게 조정하고, 전체적으로 철탑 지지물의 공사비 등을 종합 검토한다.
전선의 이도
전선의 실제 길이
전선의 평균 높이
2) 전선의 하중
(1) 빙설 하중 ( Wi : 수직 하중 - 저온계에서만 적용 ) :
(2) 풍압 하중 ( Ww : 수평 하중 ) :
①
②
(3) 합성 하중 ( W : 총 하중 ) :
*
*
3) 전선의 보호
(1) 전선의 진동 방지 장치
① 스톡브리지 댐퍼 :
② 토오셔널 댐퍼 :
③ 스페이서 댐퍼 :
④ 아머로드 :
(2) 전선의 도약에 의한 상간 단락 방지 :
① 겨울철 전선에 부착되어 있던 빙설이 갑자기 탈락하면, 그 반동력으로
전선은 위로 튀어 올라 상간 단락 사고 발생
② 철탑의 오프셋(off-set) : 전선의 도약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철탑의 암의 길이를 틀리게 하는 것
4) 지중 케이블
(1) 지중 전선로를 건설하는 이유 :
① 도시의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② 수용 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대도시 지역에 전력 공급하는 경우
③ 뇌, 풍수해에 의한 사고로부터 높은 공급 신뢰도가 요구되는 경우
④ 보안상 등의 이유로 가공 전선로를 건설할 수 없는 경우
(2) 케이블의 구조 및 케이블 손실 :
(3) 지중 케이블 고장점 측정 방법 :
① 머레이 루프법
② 펄스 레이다법
③ 수색 코일법
④ 정전용량 브리지법, 임피던스 브리지법
'전기공사기사 > 전력공학(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선로정수 및 코로나 - 코로나( Corona ) (0) | 2020.07.07 |
---|---|
02. 선로정수 및 코로나 - 선로정수 (0) | 2020.07.06 |
01. 송전선로 - 애자(Insulator) (0) | 2020.06.25 |
01. 송전선로 - 전선 지지물(철탑) (0) | 2020.06.25 |
01. 송전선로 - 전선 (0) | 2020.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