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기사/전력공학(高) 20

07. 이상 전압 및 개폐기 - 개폐기 ( 차단기, 단로기 )

1) 차단기 ( CB ) (1) 차단기는 부하전류는 물론 고장시에 발생하는 대전류를 신속하게 차단하여 고장 구간을 신속하게 건전 구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2) 소호 원리에 따른 차단기의 종류 ① 유입 차단기 ( OCB ) : 소호실에서 아크의 열에 의한 절연유의 분해에 따른 가스의 소호력을 이용 ② 공기 차단기 ( ABB ) : 압축 공기의 강한 소호력을 이용 ③ 진공 차단기 ( VCB ) : 진공 상태에서의 아크의 급속한 확산 효과를 이용하여 소호 ④ 자기 차단기 ( MBB ) : 자기 회로에서의 자기력에 의해서 아크를 끌어당겨서 소호 ⑤ 가스 차단기 ( GCB ) : 절연 특성이 매우 뛰어난 SF6 가스의 강력한 소호 작용을 이용 (3) 차단기의 정격 차단 용량 (4) 차단기의 차단..

07. 이상 전압 및 개폐기 - 이상 전압 방지 대책

1) 외부 대책 (1) 가공지선 설치 가공지선에 의한 전압 별 보호각 유지 154[kV] 의 경우는 보호각 45 ~ 60 ˚ 345[kV] 의 경우는 보호각 0 ˚ 765[kV] 의 경우는 보호각 - 8 ˚ (2) 매설지선 설치로 탑각 접지 저항각을 가능한 한 낮춘다. ( 역섬락 방지 ) 154[kV] 의 경우는 탑각 접지저항 15[Ω] 이하 345[kV] 의 경우는 탑각 접지저항 20[Ω] 이하 765[kV] 의 경우는 탑각 접지저항 15[Ω] 이하 (3) 변전소 및 발전소의 중심부에서 반경 1~2 [km] 구간 내 가공지선 설치 (4) 건축물에서는 피뢰설비( 피뢰침 등 ) 설치 (5) 송전선에서의 낙뢰 방지 대책 ① 아킹혼, 아킹링 설치 ② 송전선용 피뢰기(LA) 설치 2) 내부 대책 (1) 적정한 ..

07. 이상 전압 및 개폐기 - 진행파의 반사와 투과 현상

1) 진행파의 해석 (1) 위 그림은 파동 임피던스 과 의 선로가 변이점 P에서 연결되고, 쪽으로부터 진행파가 들어왔을 때 이 진행파가 변이점에서 어떻게 반사되고, 또 어떻게 투과해 나가는가를 보인 것이다. (2) 진행파의 전압이나 전류에서도 교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키르히호프의 법칙이 만족하므로 여기에서 (3) 우선, 반사파 전압을 구해보면, (4) 마찬가지로 투과파 전압을 구해보면, 2) 반사 계수 및 투과 계수

07. 이상 전압 및 개폐기 - 계통에서 발생하는 이상 전압의 종류

1) 외부 이상전압 (1) 직격뢰에 의한 이상전압 뇌가 송전선 또는 가공지선을 직격할 때 발생하는 이상 전압 (2) 유도뢰에 의한 이상전압 송전선에 유도된 구속전하가 뇌운 간 또는 뇌운과 대지 간 방전을 통해 자유전하로 되어 송전선로를 진행파가 되어 전파되는 이상 전압 2) 내부 이상전압 계통 조작 시( 차단기의 투입 또는 개방 시 )에 나타나는 개폐 서지로 계통 내부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이상 전압 3) 표준 충격 파형 (1) 표준 충격파의 정의 과도적으로 단시간에 나타나는 충격 전압, 전류 파형은 현저한 진동파가 겹치지 않는 단극성의 전압, 전류만을 생각하면 각기 그 특성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파형은 다음 그림과 같다. (2) 규약 표준 충격파형

06. 고장 계산 - 대칭 좌표법 ( 불평형 고장 계산 방법 )

1) 대칭 좌표법의 정의 (1) 1선 지락 등 불평형 고장 계산은 매우 복잡하므로, 대칭 좌표법으로 구해야 한다. (2) 대칭 좌표법은 고장 계산을 직접 하는 것이 아니고, 사고 성분을 영상분( ) , 정상분 ( ), 역상분 ( )으로 나누어서 따로 따로 계산한 후에 이들을 중첩하여 고장 계산하는 방법이다. 2) 3상의 대칭분 표현 식 및 대칭 성분 3) 대칭 좌표법에 의한 고장 계산 흐름도 (1) 사고 종류에서 기지값과 미지값을 산출한다. (2) 기지값에서 대칭분 전압( ) 및 대칭분 전류 ( )를 구한다. (3) 이를 발전기 기본식에 대입하여 실제의 전압, 전류를 계산한다. (4) 발전기 기본식 4) 대칭분 전류의 의미(역할) (1) 정상 전류 : ① 평형 3상 교류로서 전원과 동일한 상회전 방향으로..

06. 고장 계산 - 3상 단락 고장 계산 ( 평형 고장 )

1) 3상 단락 고장 계산 방법 (1) 옴(Ω) 법 회로이론에서 옴의 법칙으로 적용하여 계통의 전압을 임피던스로 나누어서 단락 전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① 단락 전류 : ② 3상 단락 용량 : (2) % 임피던스( %Z ) 법 계통 임피던스의 크기를 옴[Ω] 값을 계통의 정격 전압에 비례한 %Z 값으로 환산하여 단락 전류를 구하는 방법이다.

05. 전력 계통의 안정도 - 안정도 향상 대책

계통의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은 앞에서의 안정도 식에서 전압(E)을 크게 하거나, 발전단과 부하 간의 위상차 각( )을 증가시키거나, 계통의 전달 리액턴스(X)를 감소시키는 대책을 세운다. (1) 전력 계통의 승압 ( 154[kV] -> 345[kV] -> 765[kV] ) (2) 발전기에 속응 여자 방식의 채용 (3) 전력 계통 간의 연계 (4) 발전소에 제동 저항기(SDR) 설치 (5) 발전소나 변압기의 리액턴스가 작은 것 채용 (6) 선로에 직렬 콘덴서 설치 (7) 선로에 복도체(다도체) 채용 (8) 보호 계전기 및 차단기의 고속도화, 고속도 재폐로 실시 (9) 발전기의 단락비 증대 (10) 고저항 접지 및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 채용

05. 전력 계통의 안정도 - 안정도 종류

1) 안정도의 정의 전력 계통의 어떠한 운전 조건하에서도 아무런 이상 없이 부하에 전력 공급을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2) 안정도의 종류 정태 안정도 안정도 과도 안정도 동태 안정도 (1) 정태 안정도 계통에 아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완만한 부하 변화 시의 전력 공급 능력 (2) 과도 안정도 계통에서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하거나, 급격한 부하의 변화가 발생했을 때의 전력 공급 능력 (3) 동태 안정도 발전기에 자동 전압 조정장치(AVR)와 전기식 고성능 조속기를 설치 하였을 때의 전력 공급 능력 3) 전력 계통의 공급 전력 식 ( 안정도 관련 식 )

04.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장해 - 유도 장해

1) 유도 장해의 종류 (1) 유도장해란, 전력선에서 발생하는 전계 및 자속이 근처에 가설된 통신설로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2) 정전 유도 장해 :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정전 용량(C)에 의해서 발생 (3) 전자 유도 장해 :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인덕턴스(M)에 의해서 발생 2) 정전 유도 장해 (1) 송전선의 영상 전압과 통신선의 상호 정전용량의 불평형에 의해 통신선에 유도되는 전압( 평상 시, 고장 시 모두 발생 ) (2) 송전선로 경과지에 통신서로가 너무 근접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선과 통신선로 간의 상호 정전용량의 영향이 너무 심하게 작용하여 전력선에서 통신선로에 정전 유도전압이 유기되면서 유도 장해를 일으킨다. (3) 정전 유도 전압의 크기 (4) 정전 유도 장해 경감 대..

04.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장해 - 중성점 접지 방식의 종류

중성점 접지 방식은 다음과 같이 임피던스의 종류에 따라서 4가지 장식으로 나뉜다. ① 직접 접지 ( Z = 0 ) ② 저항 접지 ( Z = R ) ③ 소호 리액터 접지 ( Z = jwL ) ④ 비 접지 ( Z = ∞ ) 1) 비 접지 방식 변압기를 △ 결선한 후 변압기와 대지 사이를 Z = ∞ 즉, 접지선을 연결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지락 사고 시 지락 전류가 매우 적은 특징이 있다. (1) 지락전류 : (2) 지락 전류가 작아 계속 송전이 가능하다. (3) 통신선에 대한 유도 장해가 적다. (4) 변압기 1대 고장 시 V결선으로 송전 가능하다. (5) 지락 사고 시 이상 전압이 크다. (6) 접지(지락) 계전기 동작이 어렵다. (7) 주로 저전압, 단거리 계통에 한해서 적용된다. 2) 직접 접지 방식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