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도 장해의 종류
(1) 유도장해란, 전력선에서 발생하는 전계 및 자속이 근처에 가설된 통신설로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2) 정전 유도 장해 :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정전 용량(C)에 의해서 발생
(3) 전자 유도 장해 :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인덕턴스(M)에 의해서 발생
2) 정전 유도 장해
(1) 송전선의 영상 전압과 통신선의 상호 정전용량의 불평형에 의해 통신선에
유도되는 전압( 평상 시, 고장 시 모두 발생 )
(2) 송전선로 경과지에 통신서로가 너무 근접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선과
통신선로 간의 상호 정전용량의 영향이 너무 심하게 작용하여 전력선에서
통신선로에 정전 유도전압이 유기되면서 유도 장해를 일으킨다.
(3) 정전 유도 전압의 크기
(4) 정전 유도 장해 경감 대책
① 송전선의 완전 연가 실시 ( )
② 전력선과 통신선의 이격 거리 증대 ( 50m 이상 )
③ 전력선 측 및 통신선에 적절한 차폐선 설치
④ 피유도 회선의 적당한 접지
3) 전자 유도 장해
(1) 전력선과 통신서의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유도되는 전압이다.
(2) 정상 시
(3) 지락 고장시
(4) 즉, 전자 유도 장해는 정전 유도 장해와는 달리 평상 시 정상운전 상태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며, 지락 사고 발생시에 발생하는 유도 장해 현상이다.
(5) 전자 유도 장해 저감 대책
① 통신선과의 병행 길이 단축
② 통신선과의 교차는 직각으로 실시
③ 차폐선( Shielding Wire )의 설치
④ 고장 회선의 신속한 차단 ( 고속도 차단 )
⑤ 전력선의 지중선로 화
⑥ 중성점 접지 저항을 크게 하거나,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 채용
⑦ 통신선 도중에 절연 변압기 설치
⑧ 통신선로에 고성능 피뢰기(LA) 설치
'전기공사기사 > 전력공학(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전력 계통의 안정도 - 안정도 향상 대책 (0) | 2020.07.20 |
---|---|
05. 전력 계통의 안정도 - 안정도 종류 (0) | 2020.07.20 |
04.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장해 - 중성점 접지 방식의 종류 (0) | 2020.07.16 |
03. 송전 특성 및 조상 설비 - 직류 송전 ( HVDC ) (0) | 2020.07.13 |
03. 송전 특성 및 조상 설비 - 조상 설비 (0) | 2020.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