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기사/전력공학(高) 20

03. 송전 특성 및 조상 설비 - 직류 송전 ( HVDC )

1) 직류 송전의 정의 발전소에서 발전된 교류(AC) 전력을 정류기로 직류(DC) 전력으로 변환시켜 송전한 후에 이를 다시 교류(AC)로 역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송전 방식을 말한다. 2) 우리나라 직류 송전(HVDC) 예 육지의 전라남도 해남에서부터 제주도까지 100[km] 해저 구간을 직류 송전 방식으로 하여 해저 케이블을 이용하여 300[MW] 용량으로 직류 연계하여 현재 운전 중이다. 3) 직류 송전(HVDC)의 장점 (1) 전력 손실이 적다. (2) 전력 기기의 절연을 교류 방식보다 낮게 할 수 있따. ( 교류의 1 / √2 정도 ) (3) 코로나 손실이 적고, 충전 전류의 영향이 없다. (4) 선로의 리액턴스가 없으므로 계통의 안전도가 높다. (5) 전선의 표피 효과나 근접 효과 영향이 없으..

03. 송전 특성 및 조상 설비 - 조상 설비

1) 조상 설비의 정의 전력 계통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효 전력에 일정한 비율의 무효 전력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에 필요한 무효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를 조상 설비라 한다. 2) 조상 설비의 종류 (1) 전력용 콘덴서( S, C ) (2) 분로(병렬) 리액터( Sh.R ) (3) 동기 조상기 동기 전동기를 무부하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으로 계통의 전압과 역률을 조정한다. 3) 조상 설비의 특징 4) 페란티 현상 (1) 페란티 현상의 정의 심야의 경부하 또는 무부하시에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 (2) 페란티 현상의 원인 선로의 대지 정전 용량으로 인한 충전 전류( 진상 전류 ) (3) 페란티 현상 방지 대책 ① 분로 리액터( Sh.R )를 설치한다. ② 동기 조상기를 저여자..

03. 송전 특성 및 조상 설비 - 송전 특성

1) 송전선로의 해석 송전선로는 송전 거리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해석한다. (1) 단거리 선로 : R과 L만의 집중 정수 회로 (2) 중거리 선로 : R과 L, C의 집중 정수 회로 (3) 장거리 선로 : R, L, C, G가 모두 있는 분포 정수 회로 2) 단거리 송전선로 (1) 단거리 선로의 등가 회로 및 벡터도 (2) 송전단 전압( ) 산출 ① 위 그림 (b)의 벡터도로부터, ② 위의 √ 내의 식 중에서 , 의 값은 매우 작으므로 무시하게 되면, (3) 전압강하의 산출 ① ② 3) 중거리 송전선로의 해석 (1) T형 회로에 의한 해석 ① 등가회로 ② T형 회로의 송전단 전압, 전류 (2) 형 회로의 송전단 전압, 전류 4) 장거리 송전선로의 해석 (1) 분포정수 회로 선로정수( R, L, G..

02. 선로정수 및 코로나 - 코로나( Corona )

1) 코로나의 정의 송전 선로의 공기가 부분적으로 절연 파괴되어서 낮은 소리와 푸른빛을 내면서 방전하게 되는 이상 현상이다. 2) 파열 극한 전위 경도 ( E [ kV / cm ] ) 공기의 간격이 1[cm]에서 절연이 파괴되기 시작하는 전압을 말한다. (1) 직류 : 30 [ kV / cm ] (2) 교류 : 30 / √2 ≒ 21 [ kV / cm ] ( 실효값 ) 3) 코로나 임계 전압 ( ) 코로나 방전이 시작되는 코로나 임계 전압 산출 식은 다음과 같다. 4) 코로나에 의한 악영향 (1) 코로나 전력 손실 발생 ( ) (2) 코로나 저주파 발생 (3) 전력선 주변 통신선로에 전파 장해 발생 (4) 소호 리액터 접지에서 소호 능력의 저하 (5) 전선 부식 ( 코로나 방전 시 오존이 발생하여 공기의..

02. 선로정수 및 코로나 - 선로정수

01. 선로정수 선로정수는 송배전선로의 전기적 특성을 해석하는 데 필요하다. 1) 선로정수의 의미 선로정수란, 전선로에 존재하는 저항 R, 인덕턴스 L, 정전용량 C, 누설 콘택턴스 G의 정수를 말하며, 이를 선로의 4정수라 한다. 2) 선로 정수값의 산출 (1) 저항 R[] ① ② (2) 인덕턴스 L [H] (3) 정전용량 C [F] (4) 등가 선간 거리 실제 전선과 전선 간의 이격거리는 서로 각기 틀리므로 정삼각형 배열로 등가 변환하여 선간 거리를 동일하게 환산한 거리를 등가 선간 거리라 한다. (5) 복도체( 다도체 ) ① ② ③ 3) 충전 용량 (1) 작용 정전용량 C [F] 전선과 전선 간, 전선과 대지 간에 존재하는 모든 정전용량을 말한다. (2) 충전 전류( ) 및 충전 용량( ) 전선에 ..

01. 송전선로 - 송전 선로의 가설

1) 전선의 이도( Dip ) (1) 전선의 이도 및 전선의 실제 길이 ① 이도 : 전선이 최고 높은 지점에서 밑으로 내려온 길이[m] ② 이도가 너무 작으면 전선의 장력이 너무 커져서 단선될 가능성이 커지고, 반대로 이도가 너무 크게 되면 전선의 흔들림이 심하고 전선 지지물의 높이가 이도에 비례해서 높아지게 된다. ③ 따라서, 송전 선로 가설 시 이도 값을 적정하게 선정하여 전선의 흔들림을 적절하게 조정하고, 전체적으로 철탑 지지물의 공사비 등을 종합 검토한다. 전선의 이도 전선의 실제 길이 전선의 평균 높이 2) 전선의 하중 (1) 빙설 하중 ( Wi : 수직 하중 - 저온계에서만 적용 ) : (2) 풍압 하중 ( Ww : 수평 하중 ) : ① ② (3) 합성 하중 ( W : 총 하중 ) : * * ..

01. 송전선로 - 애자(Insulator)

1) 애자의 역할 (1) 전선과 철탑 간의 절연체 역할을 한다. (2) 전선을 지지물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역할을 한다. 2) 애자의 구비조건 (1) 충분한 절연 내력을 가질 것 (2)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것 (3) 누설전류가 적을 것 (4) 온도 변화에 잘 견디고 습기를 흡수하지 말 것 (5) 가격이 싸고 다루기 쉬울 것 3) 애자의 종류 (1) 핀 애자 - 직선 전선로를 지지하기 위한 곳에 사용 (2) 현수 애자 (3) 장간 애자 - 장 경간이나 해안 지대에서 염진해 대책으로 개발된 애자 (4) 내무 애자 - 해안, 공장 지대에서 염분이나 먼지, 매연 대책용 애자 4) 현수 애자의 섬락전압( 250mm 표준 ) (1) 건조 섬락전압 (2) 주수 섬락전압 (3) 유중 섬락전압 (4) 충격 섬락전압..

01. 송전선로 - 전선

1) 전선의 구비 조건 (1) 도전율이 클 것 ( 고유저항이 작을 것 ) (2) 기계적 강도가 클 것 (3) 가요성이 풍부할 것 (4) 비중이 작을 것 ( 중량이 가벼울 것 ) (5) 가격이 싸고 대량 생산이 가능할 것 2) 전손의 구조에 따른 종류 (1) 단선 : 전선의 구성이 1개의 도체만으로 이루어진 전선 * 전선의 규격 : * 전선의 종류 : (2) 연선 : 전선의 구성이 여러 개의 단선을 꼬아 만든 전선 * 전선의 규격 : * 전선의 종류 : 3) 전선의 재료에 따른 종류 (1) 연동선 ( 옥내용 ) * (2) 경동선 ( 옥외용 ) * (3) 알루미늄선 ( 옥내용 ) * (4) 강심 알루미늄 연선 ( ACSR : Aluminium Conductor Steel Reinforced ) ① ② 4) ..

전력공학 목차

Chapter 01. 송전선로 Chapter 02. 선로정수 및 코로나 Chapter 03. 송전 특성 및 조상 설비 Chapter 04.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장해 Chapter 05. 전력 계통의 안정도 Chapter 06. 고장 계산 Chapter 07. 이상 전압 및 개폐기 Chapter 08. 보호 계전기 Chapter 09. 배전 선로 Chapter 10. 수력 발전 Chapter 11. 화력 발전 Chapter 12. 원자력 발전 송전선로 9 % 선로정수 및 코로나 10% 송전 특성 및 조상 설비 9 %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장해 8 % 전력 계통의 안정도 10% 고장 계산 10% 이상 전압 및 개폐기 11% 보호 계전기 6 % 배전 선로 12% 수력 발전 5 % 화력 발전 7 % 원자력 발..